2025/07/02 4

타석당 투구 수(P/PA)로 본 타자의 선구안과 전략성 분석

P/PA란 무엇인가? 타자의 성향을 보여주는 기초 지표P/PA는 ‘Pitch per Plate Appearance’의 약자로, 타자가 한 타석에서 상대 투수에게 얼마나 많은 공을 던지게 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다. 계산은 간단하다. 총 투구 수를 타석 수로 나누면 P/PA가 된다. 이 지표는 단순히 숫자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 안에는 타자의 선구안, 집중력, 전술적 이해도, 그리고 경기 흐름을 읽는 능력까지 다양한 정보가 녹아 있다.예를 들어, P/PA가 4.5 이상인 타자는 보통 볼 카운트를 유리하게 끌고 가며, 공을 많이 보고 선택적으로 스윙하는 타격 성향을 가진 경우가 많다. 반대로 P/PA가 3.0 이하인 타자는 적극적으로 초구를 공략하거나, 빠른 타격 결정을 하는 타자일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

야구 2025.07.02

스탯캐스트가 KBO에 도입되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변화

스탯캐스트란 무엇이며, KBO는 왜 필요한가?스탯캐스트(Statcast)는 메이저리그(MLB)에서 2015년부터 전 구장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초정밀 야구 데이터 추적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고속 카메라와 레이더를 활용해 타구 속도, 발사각, 비거리, 투구 회전수, 수비수의 이동 거리, 주자의 스프린트 속도 등 눈에 보이지 않던 움직임까지 모두 데이터로 수집한다. 덕분에 선수의 실제 능력과 경기 중 성과를 정밀하고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다.반면, 현재 KBO는 스탯캐스트 수준의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도입하지 못한 상태다. 일부 구장에 간단한 타구 추적 장비나 투구 추적 시스템은 있지만, 전 구장을 아우르는 통합형 데이터 플랫폼은 부재한 상황이다. 선수의 움직임 대부분은 여전히 육안에 의..

야구 2025.07.02

스탯캐스트 도입 이후 MLB 선수 평가 변화 사례

스탯캐스트 기술 도입이 바꾼 야구의 기준2015년, 메이저리그(MLB)는 전 구장에 ‘스탯캐스트’라는 이름의 고급 데이터 추적 시스템을 공식 도입했다. 이전까지 야구는 타율, 홈런, 타점, ERA 같은 전통적인 지표를 중심으로 선수 평가가 이뤄졌다. 물론 세이버메트릭스 같은 분석 방법은 이미 활용되고 있었지만, 여전히 눈에 보이는 결과 중심의 해석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스탯캐스트가 본격적으로 도입되면서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스탯캐스트는 단순히 기록을 모으는 것을 넘어서, 경기 중 일어나는 거의 모든 움직임을 수치로 측정할 수 있게 해줬다. 타구 속도, 발사각, 투구 회전수, 수비수의 반응 속도, 주자의 이동 거리까지 데이터화되면서, 야구는 ‘눈으로 보는 스포츠’에서 ‘숫자로 설명할 수 있는 스포츠’로..

야구 2025.07.02

스탯캐스트란? 야구 데이터를 분석하는 최신 기술 해설

스탯캐스트의 탄생 배경과 기술 구조스탯캐스트(Statcast)는 메이저리그(MLB) 사무국과 스포츠 정보 기업인 MLBAM(Major League Baseball Advanced Media)이 공동으로 개발한 야구 데이터 추적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2015년부터 메이저리그 전 구장에 정식 도입되었으며, 기존 야구 통계 시스템과는 차원이 다른 정밀도와 실시간성, 그리고 다양성을 갖춘 분석 도구로 평가받는다. 스탯캐스트는 레이더와 고속 카메라 기술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경기장에서 일어나는 모든 움직임을 수치화하고 기록한다. 예를 들어 타구 속도, 발사각, 비거리, 수비수의 반응 속도, 주자의 리드 거리, 투수의 릴리스 포인트 등까지 자동으로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축적한다. 초기 스탯캐스트는..

야구 202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