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5

선수 연봉과 WAR 비교: 연봉 대비 효율적인 선수는 누구인가?

WAR란 무엇인가? 선수 가치 평가의 새로운 기준WAR(Wins Above Replacement)는 야구에서 선수가 리그 평균 수준의 대체 선수 대비 몇 승을 더 만들어냈는지를 수치화한 지표다. WAR 1.0은 해당 선수가 팀에 1승을 더해줬다는 의미이며, 이는 수비, 주루, 공격, 포지션 가치, 리그 환경까지 통합하여 계산된다. 타자의 WAR는 타격 성적(wRAA), 수비력(UZR, DRS), 주루 능력 등을 기반으로 산출되고, 투수의 WAR는 FIP 기반(WAR-FIP) 혹은 RA9 기반(WAR-RA9) 등 방식에 따라 계산이 달라질 수 있다. WAR의 가장 큰 강점은 모든 포지션, 타자와 투수를 하나의 수치로 비교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유격수 A와 외야수 B, 선발투수 C가 각각 팀에 얼마..

야구 2025.07.01

wOBA vs OPS: 고급 타격 지표의 해석 차이와 실제 활용법

OPS란 무엇이며, 어떤 장점과 한계를 가지는가?OPS(On-base Plus Slugging)는 야구 팬들이 가장 자주 접하게 되는 타격 지표 중 하나다. 이 수치는 이름 그대로 출루율(OBP)과 장타율(SLG)을 단순히 더한 수치다. 출루율은 타자가 얼마나 자주 베이스에 나갔는지를 나타내며, 장타율은 타자가 만든 타격의 질(단타, 2루타, 홈런 등)에 따른 가중치를 포함한 평균 타격 결과다. OPS는 이 둘을 합침으로써 타자의 공격 기여도를 간단하게 시각화해주는 유용한 도구로 널리 활용된다. OPS 1.000 이상이면 MVP급, 0.900 이상이면 강타자, 0.800 이상이면 준수한 타자로 간주된다. 하지만 OPS에는 구조적인 약점도 존재한다. 가장 큰 문제는 출루율과 장타율의 상대적 중요도를 동일..

야구 2025.07.01

ISO(순수 장타력)로 타자의 파워 분석하기

ISO란 무엇인가? OPS와 SLG에서 분리된 장타력의 진짜 의미ISO는 ‘Isolated Power’의 약자로, 타자의 순수한 장타력을 나타내는 고급 지표다. 계산법은 간단하다. ISO = 장타율(SLG) - 타율(AVG). 이 수식은 매우 의미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장타율은 타율과 장타를 모두 포함하지만, ISO는 그중 단타를 제외한 2루타, 3루타, 홈런만을 반영한 장타 비중만을 따로 추출해낸 것이다. 예를 들어, 한 타자가 타율이 .300이고 장타율이 .500이라면, ISO는 .200이다. 이는 전체 타격 중 순수하게 장타를 기록한 비율이 20%라는 의미다. 이 지표는 OPS보다 더 ‘파워 중심’으로 타자를 해석할 수 있는 지표이며, 출루율이나 단타 중심 타격이 높은 타자와의 비교에서 진짜 ..

야구 2025.07.01

QS(퀄리티 스타트)와 FIP의 차이: 선발투수 평가 핵심 지표 비교

퀄리티 스타트(QS)의 개념과 장점QS는 ‘Quality Start’의 약자로, 선발투수가 최소 6이닝 이상을 던지고 3자책점 이하로 막아낸 경기를 의미한다. 이 지표는 비교적 오래된 개념으로, 투수의 ‘기본적인 선발 역할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QS는 팬과 코치진 모두에게 직관적인 기준을 제공한다. “6이닝 이상 3자책점 이하”라는 조건은 누가 보더라도 어느 정도 안정적인 경기 운영을 의미하며, 이는 팀의 승리 확률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왔다. 실제로 QS를 자주 기록하는 투수는 이닝 소화 능력, 체력, 위기 관리 능력 등에서 높은 신뢰를 얻는다. 특히 한국프로야구(KBO)에서는 불펜 자원이 많지 않기 때문에, 선발이 6이닝 이상을 책임지는 것 자체가..

야구 2025.07.01

클러치 상황에서 OPS는 신뢰할 수 있을까? 고압 상황별 통계 분석법

OPS의 기본 개념과 활용 범위OPS(On-base Plus Slugging)는 타자의 공격력을 가장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다. 출루율(OBP)과 장타율(SLG)을 단순히 더한 수치로, 타자의 선구안과 장타력을 함께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된다. OPS가 1.000을 넘기면 리그 최고의 타자로 평가되며, 0.800 이상도 강타자로 분류된다. 이 수치는 경기 전반에 걸쳐 타자의 공격 효율성을 측정하는 데 매우 유용하지만, 모든 상황에서 동일한 신뢰도를 갖는 것은 아니다. 특히 ‘클러치 상황’이라고 불리는 득점권 찬스, 9회말 역전 기회, 연장전의 중요한 타석 등에서는 OPS만으로 타자의 실제 가치를 평가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 OPS는 모든 타석을 평균화한 수치이기 때문에, ..

야구 2025.07.01